본문 바로가기

기업 이야기/기업문화

0. 21세기는 지적자본과 휴먼 캐피탈 시대

비즈니스위크지에 따르면 미국기업 경영자의 80%가 우수한 인력을 유치하고 떠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전략의 비중을 가장 높게 책정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얼라이드 시그널의 래리 보시디 회장은 “궁극적으로 우리는 전략에 승부를 거는 것이 아니고 사람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오늘날 회사의 진정한 가치는 무엇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런던 비즈니스 스쿨의 찰스 핸디 교수는 기업의 보이지 않는 무형의 자산 즉 지적 자본(Intellectual Capital)이 장부가치의 3 ~ 4배에 달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다트머스 대학의 퀸 교수는 기업 부가가치의 4분의 3은 지식으로부터 나온다고 하였다. 

지식자본의 시대

스웨덴의 글로벌 금융기업 스칸디아사는 주주들에게 배포하는 연차 회계보고서에 지적자본의 가치라는 부록이 붙어있다. 스칸디아사의 지적자본의 항목으로는 고객자본, 프로세스자본, 개선 및 개발자본, 인적자본(Human Capital)이 포함되어져 있다. 또한 캐터필러사는 회사의 지적자본항목에 인적자본, 프로세스자본, 성장과 고객관련자본, 리더십 및 혁신자본 등을 핵심 지표로 놓고 있다. 이와 같이 선진기업의 사례에서 눈 여겨 볼 사항은 기업의 핵심자산에 대한 가치기준이 유형의 자산에서 무형의 자산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점이며 무형의 자산 중에서도 특히 인적자본과 관련된 항목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몇 해 전 지식혁명을 일으키고 있다고 보도된 국내 기업의 경우 전체직원 1,600명중 370명을 대상으로 개인성과표를 작성해 보았는데 그 결과 한 부서의 성과 최하위자는 880만원의 매출이익기여를 실현한 반면에 최상위자는 37억 6300만원을 실현하여 그 생산성 격차가 무려 470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와 같은 큰 폭의 차이는 유형자산의 가치에 무형자산의 가치를 추가함으로써 가시적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그 결과는 높은 성과자에 대한 차별적 보상과 성과 인정을 통하여 더욱 더 강한 동기를 부여한 결과다.

인적자본을 극대화하기 위하여는 

인적자본의 의미는 조직의 구성원에 체화되어 있는 지식(Knowledge)이나 기술(Skill) 경험(Experience)이다. 최근 인적자원관리에서 점점 중요하게 이야기되고 있는 것으로 핵심역량(Core Competency)이라는 것이 있다. 처음 핵심역량이라는 것이 대두된 과정을 보면 어떤 기업에서 가장 뛰어난 성과를 내는 직원들에 대하여 무엇인가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요소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서 조사를 해 보았더니 우수한 직원들은 다른 직원들과는 뭔가 다른 능력과 그에 따른 행동양식이 있었다. 이러한 것들을 묶어서 정의 내린 것이 핵심역량이며 이러한 핵심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모든 직원들에게 핵심역량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개발하는 것이 핵심역량경영이 된 것이다. 그러나 핵심역량에는 노력 여하에 따라 개발되고 개선되어질 수 있는 지식(Knowledge) 기술(Skill), 행동양식(Behavior) 등의 요소들이 있는가 하면 어려서부터 이미 형성되어져서 거의 개선되어지기 불가능하다고 보는 인간의 기본적인 태도(Attitude) 성향(Trait) 등이 있다. 기업의 인적자본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는 이러한 조직 구성원들의 핵심역량을 극대화 하는 경영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최고의 기업을 만들기 위하여는 

최고로 우수한 직원들과 그들의 지식, 기술, 행동양식이 모이게 되면 그러한기업은 당연히 최고의 기업으로 자리매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인적자원의 능력을 극대화 하여 최고의 기업을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서 최근 인적자본경영(Human Capital Management)이 점 점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필자는 향후 최고의 인적자본을 바탕으로 최고의 기업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기고하게 될 것이며 핵심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훌륭한 인재가 회사를 떠나는 10가지 이유 

2. 조직의 건강도 자기진단(Self – Test)

3. 직무중심의 시스템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
   – 인적자원경영의 글로벌 스탠다드 

4. 우수한 인재의 채용 
   – 이제는 교육훈련보다 채용이 더욱 강조되는 시대

5. 지속 가능한 성과창출경영
   – 균형성과지표(BSC)와 KPI의 도출

6. 직원 역량 향상시키기 
   – 보통의 직원들을 최우수 직원들로 탈바꿈시키기

7. 전략적 연봉제 실천방안
   – 우수한 직원은 그에 걸 맞는 동기부여가 필요

8. 리더십
   – 명령하지 않고 부하직원을 따르게 하는 노우하우

9. 윤리경영 
   – 존경 받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10. 조직문화 혁신과 조직 활성화 방안

11. 성공하는 기업의 변화관리


링크 - http://www.peopleconsulting.co.kr/bbs/zboard.php?id=publications&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