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떠도는 해결책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이하 출처: 네이버 지식인
1. 장착된 메모리 문제.
- 메모리 불량이거나 메인보드 메모리 슬롯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Memtest나 골드메모리로 테스트를 메모리 하나하나 꽂으면서 슬롯 바꿔가보면서 해봅니다. 그리고 메모리 호환성 문제일 수도 있으며, 메모리의 금도금 접촉부분을 지우개로 양면다 문질러주고, 지우개 밥은 깨끗하게 없앤 후 재장착을 해봅니다.
2.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문제
-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재설치 해봅니다.
재설치하시는 김에 메인보드 칩셋드라이버부터 하나하나 다시 재설치를 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3. 오래장착된 그래픽카드 문제
- 그래픽카드를 분리하고, 금도금 접촉부분을 지우개로 양면다 문질러주고, 지우개 밥은 깨끗하게 없앤 후 재장착을 해봅니다.
4. 바이오스 문제
- 메인보드 유통사로 통해 바이오스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봅니다.
특히 저가형 메인보드에서 주로 나타나는 사례입니다.
그리고 인텔 CPU이신 경우엔 CMOS에서 eXecute Disable Bit를 Disable로 바꿔보시기 바랍니다.
※ eXecute Disable Bit이란?!
인텔 펜티엄4 775 계열 이후 데스크탑용 CPU에서는 대부분 지원하는 기능이며, 이 기능은 Worm, Virus 등에서 자주 쓰이는 Buffer Overflow 공격을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 차단시키고, 메모리 자체에서 격리시키는 기능을 말합니다.
5. 그 외에 블루스크린 STOP 코드밑에 파일명을 참고하여, 해당 파일을 검색해서 무엇인지 알아내시고 제거후 재설치를 해봅니다. 실제로 nProtect 같은 프로그램으로 인해 블루스크린 8E가 발생한 사례도 있으며,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제거후 다시 설치해주면 해결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해서 나타는 경우엔 제거 후 다시 설치했음에 불구하고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면 윈도우 재설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오래된 메인보드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기도 합니다.
만약 메모리나 그래픽카드로 인한 블루스크린 8E라면 1, 2, 3 과정으로 진단해보시고,
그래도 동일한 증상이라면 불량 원인을 찾으셔서 해당 부품을 A/S 받으시기 바랍니다.
★ 그리고, 윈도우 사용하다가 발생한 블루스크린은 컴퓨터에 저장이 되는데요,
내 컴퓨터 -> C 드라이브 -> Windows 폴더 -> Minidump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브잡스의 말 (0) | 2011.10.06 |
---|---|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후, watchdog.sys 오류 발생 (0) | 2011.08.25 |
네이버 자동로그인 (0) | 2011.07.28 |
IT 추천도서 (0) | 2011.06.23 |
공유기 사용할 때 웹서버 구동 (0) | 2011.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