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블릿은 자바 플랫폼에서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2. JSP 는 등장할 당시에는 서블릿을 대체하는 기술로 주목 받았지만, 차츰 상호보완적인 기술로 자리 잡아갔다.
3.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서블릿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콘텐츠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할 수 있다. ★★★★★
- 컨트롤러와 뷰의 역할 분담으로 인해 웹 디자이너와 개발자 간의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다.
- 유비보수가 수월하다.
- 기능 확장이 용이하다.
- 프로그래머가 HTML, javascript , CSS 와 같은 복잡한 기술을 모두 알 필요가 없다.
- JSP 페이지에 HTML,CSS,javascript 언어가 모두 섞이는 스파게티 소스를 피할 수 있다.
4. 서블릿 구조와 처리 과정
- 컨테이너는 서블릿 클래스를 로딩한다.
- 서블릿 클래스의 생성자 메소드를 호출해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 생성된 인스턴스의 init() 메소드가 호출된다. init() 메소드는 서블릿 생명주기에서 단 한번만 실행된다. 따라서 init() 메소드에서는 각종 초기화 작업 등을 수행한다.
- 서블릿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대해서는 web.xml 파일을 참조해 URL 매핑을 확인하고, 해당 서블릿 인스턴스로 부터 스레드를 생성하고, 이후 GET/POST 에 대해 doGet()이나 doPost()등의 메소드가 호출된다. 따라서 서블릿 개발자는 이들 메소드에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 destroy() 메소드는 서블릿 종료 시 호출되는 메소드로 필요한 작업이 있다면 이 메소드에 내용을 구현해 주어야 한다.
5. JSP 는 컨테이너에서 서블릿 코드로 자동으로 생성되고 컴파일 된다.
6. 서블릿 구현은 javax.servlet.GenericServlet 또는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클래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7. 서블릿은 최초 메모리에 로드되면서 init() 메소드가 호출되고, 이후 사용자 요청은 스레드별로 service()메소드를 통해 호출된다.
'IT 이야기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6. 내장객체 (0) | 2010.11.19 |
---|---|
Chapter5. JSP 기본 문법 (0) | 2010.11.19 |
Chapter 2. JSP Development Environment (0) | 2010.10.30 |
Chapter 1. Ready (0) | 2010.10.30 |
JSP 기본구조 (0) | 201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