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이야기

서번트 리더쉽

나 그 네 2011. 10. 11. 15:04

- 섬김과 배려의 리더쉽
http://blog.naver.com/risingkasim/80120364421
 

1. 서번트 리더십의 의미

 

 서번트 리더십은 그린리프(R. Greenleaf)라는 경영학자에 의해 1970년대 초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그린리픈ㄴ 헤세(H. Hesse)가 쓴 '동방 순례'라는 책에 나오는 서번트인 레오의 이야기를 통해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레오는 순례자들의 허드레 일이나 식사 준비를 돕고, 때때로 지친 순례자들을 위해 밤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이었다. 레오는 순례자들 사이를 돌아다니면서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살피고, 순례자들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지치지 않도록 배려했다. 그러던 어는 날 갑자기 레오가 사라져 버렸다. 그러자 사람들은 당황하기 시작했고, 피곤에 지친 순례자들 사이에 싸움이 잦아졌다. 그 때서야 비로소 사람들은 레오의 소중함을 깨닫고, 그가 순례자들의 진정한 리더 였음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서번트 리더십은 레오와 같이 다른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이루어 나가는데 있어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고 도와주는 리더십이다. 결국 인간 존중을 바탕으로 다른 구성원들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 주고 이끌어 주는 것이 서번트 리더십의 중심이다.

 

 

2. 서번트 리더십의 역할

 

 업무의 조력자로서의 서번트 리더는 기본적으로 방향 제시자, 파트너, 지원자의 세 가지 역할에 초점을 두고 구성원들을 리드해 나가는 특성을 가진다.


 첫번째로 방향 제시자 역할은 조직의 비전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의미한다. 서번트 리더가 지원자이면서도 리더인 이유는 다른 구성원들이 보지 못 하는 미래를 바라보고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리더십 분야의 저명한 학자인 블랜차드(K. Blanchard)의 겅호(Gung Ho)프로그램에 따르면 구성원들은 자신에게 분명한 방향과 목표가 주어질 때 잠재력을 발휘하여 최상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한다. 최고경영자는 중간관리자에게, 중간관리자는 일선 실무자들에게 조직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과 목표를 명확히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로 서번트 리더는 파트너로써 구성원들간의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의견들을 조율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파트너로서 서번트 리더는 재능있는 음악가들로 이루어진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모습에 비유할 수 있다. 연주의 템포를 유지하고, 연주자의 역할과 능력이 적절한지, 전체 연주자들간의 조화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는 지휘자의 모습은 구성원들의 의견들이 목표에 적합한지 살피며, 다른 구성원들과의 의견교류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조율하는 파트너로서의 리더 역할과 유사하다.


 세 번째로, 지원자 역할은 구성원들이 업무 수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업무 외의 개인적인 삶에 있어서도 업무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이다. 즉, '일과 삶의 균형(work & life balance)' 을 이룰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도 서번트 리더십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 지원자 역할을 충실히 하기 위해 서번트 리더는 부하들이 찾아오기를 기다리기 보다, 먼저 찾아다니면서 도울 것이 없는지를 부하들에게 묻고 다닌다. 예컨대, 고객 서비스로 유명한 노드스트롬(Nordstrom)사를 보도록 하자. 노드스트롬사 매장에서 일하는 한 종업원에게 노드스트롬사에서 일하면서 다른 곳과 가장 다르다고 생각되는 점이 무엇이냐?라는 질문을 하자, 직원은 '상사요, 내 상사는 하루에 서너 번 씩 나에게 와선, 도와줄 일이 없느냐고 묻는데, 그는 마치 나를 위해 일하는 사람 같아요' 라고 대답했다. 이와 같이 서번트 리더는 수시로 구성원들과 접촉하면서, 구성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도울 일이 있는지 살피는 역할을 한다.

[출처] 서번트 리더쉽|작성자 까칠대마왕